Flutter 앱 성능 최적화 — 빌드 최적화와 오버렌더링 잡아내기
·
Flutter
Flutter 앱을 개발하다 보면 어느 순간 앱이 무거워졌다고 느끼는 때가 있다.버튼 반응이 느려지거나, 스크롤이 버벅거리거나, 디바이스가 뜨거워지는 현상까지...이럴 땐 단순히 기능 추가가 아니라, 성능 최적화가 필요하다.이 글에서는 빌드 최적화와 오버렌더링 탐지를 중심으로 Flutter 성능을 올리는 팁을 정리해본다.⚙️ Build 최적화 — 최소한만 다시 그리기Flutter는 위젯 트리에서 변경이 생기면 해당 위젯과 자식 위젯을 다시 빌드한다.하지만 이게 불필요하게 많아지면, 성능은 곤두박질친다.✅ const 키워드 활용하기위젯이 절대 바뀌지 않는다면 const로 선언해두면Flutter가 이를 캐싱해 다시 빌드하지 않는다.const Text('고정된 텍스트'); // good!Text('바뀌지 않..
Flutter와 Firebase의 만남 — 고급 연동 패턴과 실전 인증 처리
·
Flutter
Firebase는 Flutter와 환상의 궁합을 자랑한다.특히 인증 처리(Firebase Auth)는 몇 줄의 코드로 시작할 수 있지만,실전에서는 그 구조와 패턴 설계가 앱의 확장성과 유지보수성에 큰 영향을 준다.이번 글에서는 단순 연동을 넘어서 고급 구조와 인증 처리 패턴을 소개한다.🔐 Firebase Auth의 기본 흐름Firebase 인증은 이메일/비밀번호, 구글, 애플, 카카오 등 다양한 로그인 방식을 지원한다.기본 플로우는 다음과 같다:Firebase 콘솔에서 인증 방식 활성화firebase_auth 패키지 설치로그인/로그아웃 처리 구현final auth = FirebaseAuth.instance;// 로그인await auth.signInWithEmailAndPassword( email: '..
Flutter에서 비동기 완전 이해하기 — Future, Stream, Isolate 이야기
·
Flutter
화면이 멈추지 않도록 만드는 것.Flutter에서 비동기는 단순한 기술이 아니라, 앱의 ‘자연스러움’을 유지하는 철학이다.이번 글에서는 Future, Stream, Isolate를 중심으로 Flutter의 비동기 처리 방식에 대해 제대로 정리해보자.⏳ Future — 약속된 결과, 언젠가는 온다Future는 '미래의 어떤 시점에 결과가 도착할 것'이라는 약속이다.서버에서 데이터를 가져올 때, 파일을 읽을 때 등 다양한 곳에서 사용된다.Future fetchData() async { await Future.delayed(Duration(seconds: 2)); return "데이터 수신 완료";}이런 Future는 다음처럼 await를 통해 기다릴 수 있다:void load() async { Stri..
애니메이션을 더 깊게 — AnimatedBuilder부터 Tween까지 완전 정복
·
Flutter
Flutter에서의 애니메이션은 단순한 UI 효과를 넘어서, 앱의 감성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다.말 한마디 없이도 애니메이션은 사용자에게 메시지를 전달한다.이 글에서는 Flutter 애니메이션의 기본부터 고급 개념인 AnimatedBuilder와 Tween까지,한 번쯤 마주했지만 명확히 이해하기 어려웠던 부분들을 실전 예제와 함께 정리해보자.🎞️ Flutter 애니메이션의 구조Flutter 애니메이션은 크게 세 요소로 구성된다:AnimationController: 애니메이션을 구동시키는 컨트롤러 (시간, 반복 등)Animation: 값의 변화 (예: 0.0 → 1.0)Tween: 어떤 값의 범위를 어떻게 보관할 것인지 정의이 셋이 잘 맞물릴 때, 우리는 섬세한 움직임을 만들어낼 수 있다.⚙️ 예제: T..
Flutter에서 Custom Widget 제대로 만들기 — 재사용 가능한 컴포넌트 설계
·
Flutter
Flutter를 처음 시작했을 땐 모든 UI를 직접 구성하는 재미가 있었다.하지만 프로젝트가 커질수록 반복되는 코드에 지치고, 조금의 수정이 전체 앱에 영향을 주는 일이 생기기 시작했다.이제 우리는 고민해야 한다. "이걸 위젯으로 분리할 수 없을까?"Flutter에서 재사용 가능한 Custom Widget을 만드는 일은 유지보수성과 생산성을 모두 높여주는 길이다.🧱 Stateless vs Stateful 위젯 선택 기준커스텀 위젯을 만들기 전, 먼저 결정해야 할 건 Stateless로 만들지 Stateful로 만들지이다.StatelessWidget: UI는 고정, 입력만 받아서 출력할 때StatefulWidget: UI가 상태 변화에 따라 바뀔 때가능하면 Stateless로 시작하고, 필요한 경우 St..
상태 관리 마스터하기 — Provider, Riverpod, Bloc 비교와 선택 가이드
·
Flutter
Flutter를 어느 정도 다루게 되면 필연적으로 부딪히는 고민이 있다.“상태 관리를 어떤 방식으로 할까?”위젯에서 직접 상태를 다루는 건 처음엔 괜찮지만, 앱이 커질수록 복잡함은 폭발한다.이 글에서는 가장 널리 쓰이는 Provider, Riverpod, Bloc의 철학과 사용 예시, 장단점을 비교하여어떤 상황에서 어떤 도구를 선택하면 좋을지 이야기해보려 한다.🔹 Provider — 간단하고 직관적인 상태 관리Provider는 Flutter 팀이 공식적으로 권장하는 방식으로, InheritedWidget의 복잡함을 감쌌다.ChangeNotifier를 기반으로 상태를 관찰하고 UI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class Counter extends ChangeNotifier { int count = 0; 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