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Next.js로 블로그를 만들면서 가장 많이 고민하는 부분 중 하나는 바로 “어떤 스타일링 방식을 쓸까?” 입니다.
가장 대표적인 선택지로는 Tailwind CSS
와 Styled Components
가 있죠.
이번 글에서는 두 방식의 차이점, 장단점, 어떤 상황에 어울리는지를 실제 블로그 프로젝트 관점에서 비교해볼게요.
🌀 Tailwind CSS란?
Utility-first CSS Framework로, 클래스 이름만으로 UI를 빠르게 구성하는 방식입니다.
<button className="bg-blue-500 text-white px-4 py-2 rounded">
Save
</button>
장점:
- 빠른 prototyping
- 클래스 이름만으로 디자인 일관성 유지
- 전역 스타일 충돌 없음
단점:
- HTML이 복잡해지고 가독성 떨어질 수 있음
- 처음엔 클래스 의미 파악이 어려움
💅 Styled Components란?
CSS-in-JS 방식으로, JS/TS 안에서 CSS 스타일을 정의할 수 있는 라이브러리입니다.
import styled from 'styled-components';
const Button = styled.button`
background-color: blue;
color: white;
padding: 0.5rem 1rem;
border-radius: 0.25rem;
`;
장점:
- 컴포넌트 단위 스타일링으로 가독성 ↑
- 동적 스타일(조건부 스타일링 등)에 강함
- 디자인 시스템과 잘 어울림
단점:
- 런타임에 스타일이 처리되어 성능에 영향
- SSR 환경에서 세팅이 필요함 (Next.js에서 살짝 귀찮음)
🔍 어떤 스타일링을 선택해야 할까?
항목 | Tailwind CSS | Styled Components |
---|---|---|
작성 방식 | HTML에 직접 클래스 | JS/TS 안에 스타일 정의 |
성능 | 빌드 시 정리되어 빠름 | 런타임 처리로 무거울 수 있음 |
가독성 | 복잡한 HTML 우려 | 컴포넌트화로 읽기 쉬움 |
적합한 상황 | 빠른 UI 제작, 정적 블로그 | 규모 있는 프로젝트, 디자인 시스템 |
📝 블로그에 어울리는 선택은?
정적인 블로그를 만들고 있다면 Tailwind CSS가 더 적합합니다.
스타일이 정해져 있고, 반복되는 UI가 적으며, 페이지 로딩 속도도 중요하기 때문이에요.
반면, 포트폴리오나 다양한 UI 위젯이 필요한 경우엔 Styled Components로 구조화된 스타일링을 해보는 것도 좋습니다.
✅ 마무리하며
스타일링 도구는 “정답”보단 “상황에 맞는 선택”이 중요합니다.
Tailwind는 빠르고 간편한 스타터 키트, Styled Components는 정교하고 구조적인 설계 도구로 생각해도 좋겠죠.
“스타일을 고른다는 건, 경험을 디자인한다는 것.”
728x90
반응형
'Next.js'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포스트 목록 만들기 — 최신순, 태그별 필터, 페이징까지 (1) | 2025.06.24 |
---|---|
블로그에 다크모드 적용하기 — next-themes로 UX 높이기 (2) | 2025.06.23 |
MDX로 Markdown에 컴포넌트 삽입하기 — 코드블럭, 이미지도 자유롭게! (1) | 2025.06.21 |
동적 라우팅으로 글 URL 구조 잡기 — [slug].tsx 완전 이해하기 (2) | 2025.06.20 |
정적 블로그 구조 만들기 — Markdown 기반 포스트 렌더링하기 (2) | 2025.06.19 |